r52 vs r53
......
6565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6666■□□|□□■|■□□|■□□|□□■|■□□|■□□|■□□
6767=== 8-4 육각형을 소개합니다 ===
68||<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4 육각형을 소개합니다}}}'''[br]8-4 Introducing Hexagons ||
69||<-4><nopad> [유튜브 링크] ||
68||<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8-4[br]'''{{{+2 육각형을 소개합니다}}}'''[br]{{{-1 Introducing Hexagons}}} ||
69||<-4><nopad> [youtube(0)] ||
7070||<-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7171[[tuto8-4.png]]}}} ||
72||<width=25%> '''BPM''' ||<-4> 150 ||
73|| '''타일 수''' ||<-4> 36 ||
74|| '''배우는 패턴''' ||<-4> 반육각형, 육각형 ||
72||<width=25%> '''BPM''' ||<-4>150 ||
73|| '''타일 수''' ||<-4>36 ||
74|| '''배우는 패턴''' ||<-4>반육각형, 육각형 ||
7575처음으로 육각형 패턴이 등장하는 튜토리얼이다. 모양은 다르지만 실제 박자는 4번째 세계의 삼각형 모양의 박자와 본질적으로 같다.
7676반으로 잘린 모양의 육각형 길은 4번째 세계의 삼각형 길을 2배 빠르게 한 박자와 똑같고, 육각형은 이를 한 번 더 반복해서 입력하면 된다.
7777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
8080육각형
8181■□□|■□□|■□□|■□□|■□■|□■□|■□■|□■□
8282=== 8-5 네모난 파도 ===
83||<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5 네모난 파도}}}'''[br]8-5 Square Wave ||
84||<-4><nopad> [유튜브 링크] ||
83||<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8-5[br]'''{{{+2 네모난 파도}}}'''[br]{{{-1 Square Wave}}} ||
84||<-4><nopad> [youtube(0)] ||
8585||<-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8686[[tuto8-5.png]]}}} ||
87||<width=25%> '''BPM''' ||<-4> 155 ||
88|| '''타일 수''' ||<-4> 24 ||
89|| '''배우는 패턴''' ||<-4> 300° 밑으로 꺾인 길+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
87||<width=25%> '''BPM''' ||<-4>155 ||
88|| '''타일 수''' ||<-4>24 ||
89|| '''배우는 패턴''' ||<-4>300° 밑으로 꺾인 길+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
9090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길은 5번째 세계의 3번째 튜토리얼과 박자가 같고,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길은 5번째 세계의 2번째 튜토리얼과 박자가 같다.
9191이 두 가지의 길이 순서대로 합쳐져 총 3번 연속으로 나온다.
9292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9393■□□|■□□|□□■|□□■|■□□|■□■|□□■|□□□
9494=== 8-6 바다뱀 ===
95||<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6 바다뱀}}}'''[br]8-6 The Sea Serpent ||
96||<-4><nopad> [유튜브 링크] ||
95||<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8-6[br]'''{{{+2 바다뱀}}}'''[br]{{{-1 The Sea Serpent}}} ||
96||<-4><nopad> [youtube(0)] ||
9797||<-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9898[[tuto8-6.png]]}}} ||
99||<width=25%> '''BPM''' ||<-4> 155 ||
100|| '''타일 수''' ||<-4> 25 ||
101|| '''배우는 패턴''' ||<-4> 300° 밑으로 꺾인 길+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
102앞선 튜토리얼과 비슷하나, 300° 밑으로 꺾인 길과 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사이의 중간에 있는 1박자가 300° 밑으로 꺾인 길의 1박자로 대체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99||<width=25%> '''BPM''' ||<-4>155 ||
100|| '''타일 수''' ||<-4>25 ||
101|| '''배우는 패턴''' ||<-4>300° 밑으로 꺾인 길+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
102앞선 튜토리얼과 비슷하나, 300° 밑으로 꺾인 길과 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 사이의 중간에 있는 1박자가 300° 밑으로 꺾인 길의 1박자로 대체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103103따라서 300° 밑으로 꺾인 길 이후 바로 120° 위로 길게 경사진 길로 진입한다는 점에만 주의하면 크게 어렵지 않다.
104104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105105■□□|■□□|□□■|□□■|□□■|■□■|□□■|□□□
106106=== 8-7 색소폰 ===
107||<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7 색소폰}}}'''[br]8-1 Saxophone ||
108||<-4><nopad> [유튜브 링크] ||
107||<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8-7[br]'''{{{+2 색소폰}}}'''[br]{{{-1 Saxophone}}} ||
108||<-4><nopad> [youtube(0)] ||
109109||<-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110110[[tuto8-7.png]]}}} ||
111||<width=25%> '''BPM''' ||<-4> 160 ||
112|| '''타일 수''' ||<-4> 27 ||
113|| '''배우는 패턴''' ||<-4> 300° 밑으로 꺾인 길+마름모꼴 모양의 스윙 ||
111||<width=25%> '''BPM''' ||<-4>160 ||
112|| '''타일 수''' ||<-4>27 ||
113|| '''배우는 패턴''' ||<-4>300° 밑으로 꺾인 길+마름모꼴 모양의 스윙 ||
114114처음 한 번의 300° 밑으로 꺾인 길 이후 2번째 튜토리얼에 등장했던 경사진 길 위의 마름모꼴 모양의 길이 3번 연속으로 등장한다.
115115마름모꼴 모양의 스윙 박자가 경사진 길에서 계속 이어지므로 익숙하지 않으면 중간에 박자를 놓칠 수 있다.
116116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
117117■□□|□□■|□□■|■□□|((■□■|□□■|□□■|■□■|))x3|■□■|□□■|□□■|□□□|■□□
118118=== 8-8 육각형 언덕 ===
119||<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 '''{{{+1 8-8 육각형 언덕}}}'''[br]8-8 Hexagon Hill ||
120||<-4><nopad> [유튜브 링크] ||
119||<table align=left><-4><tablewidth=400><colbgcolor=#244627><table bordercolor=#5A7D7E,#10371A><colcolor=#FFEB4C>8-8[br]'''{{{+2 육각형 언덕}}}'''[br]{{{-1 Hexagon Hill}}} ||
120||<-4><nopad> [youtube(0)] ||
121121||<-4><nopad> {{{#!folding [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
122122[[tuto8-8.png]]}}} ||
123||<width=25%> '''BPM''' ||<-4> 160 ||
124|| '''타일 수''' ||<-4> 26 ||
125|| '''배우는 패턴''' ||<-4> 경사진 길 위 육각형 ||
123||<width=25%> '''BPM''' ||<-4>160 ||
124|| '''타일 수''' ||<-4>26 ||
125|| '''배우는 패턴''' ||<-4>경사진 길 위 육각형 ||
126126앞선 튜토리얼의 경사진 길 위에 마름모꼴 모양의 길 대신 육각형 길이 대신 들어가 있다.
127127경사진 길에서 육각형 길로 들어갈 때는 육각형 길의 2번째 박자부터 셋잇단으로 입력해야 하므로 처음 하면 박자 감각이 조금 생소할 수 있다.
128128특히 마지막 육각형은 경사진 길이 끝나고 바로 정박에서 1박자를 2번 입력하는데, 바로 다음에 나오는 메인 레벨의 마지막 패턴이자 상당수의 처음 도전하는 플레이어들이 이 구간에서 박자를 헷갈려 죽는 부분이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
140140||<-12>[include(틀:레벨 태그,tag1=Hexagon,tag2=Swing,tag3=Triplet)] ||
141141||<-12><bgcolor=#244627><nopad>'''{{{+1 {{{#FFEB4C | 난이도}}}}}}''' ||
142142||<-4> {{{-1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Zdcrfwxbuew1DE8WYm2geTHYEQii288P07dokyZ2NlU/edit?gid=1992961051#gid=1992961051|난이도 시트]]}}}[br]'''{{{+4 -}}}''' ||<-4> {{{-1 ADOFAI.gg}}}[br][[파일:gg Lv 5.svg|width=40]] ||<-4> {{{-1 TUF}}}[br][[파일:TUF Lv P4.png|width=40]] ||
143
1441438번째 세계의 메인 레벨이다.
145144셋잇단 기반의 스윙 박자가 아예 기본적으로 깔려 있는 메인 레벨인 만큼 이런 박자에 익숙하지 않으면 어려운데, 추가로 튜토리얼보다 훨씬 빨라진 BPM 200이라는 속도는 이제 막 7번째 세계를 클리어하고 온 초심자에게 매우 어려운 레벨로 평가된다.
146145이 레벨을 진행하다 보면 배경에 있는 도시의 풍경이 비춰지다가 중간에 숲이 우거지는 연출과 함께 박자에 맞춰 건물의 네온 사인이 켜졌다 꺼졌다를 반복하는 연출이 등장한다. 또한 육각형 길로 들어갈 때 처음으로 카메라가 한 지점에 고정되는 연출이 처음으로 등장하며, 5번째, 6번째 튜토리얼에 등장한 패턴이 연속으로 나오는 구간에서는 길 등장 및 퇴장 애니메이션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진행하는 길이 전부 보이지 않아서 처음엔 당황할 수 있지만 튜토리얼에서 봤던 패턴과 정확히 일치하므로 그대로만 입력하면 쉽게 돌파할 수 있다.
......